“남해군 고려대장경 판각유적지 원형 복원이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됩니다.”
2013년 발굴된 남해군 고려대장경 판각 유적지 복원에 남해군과 국회의원, 그리고 불교계가 마음을 모았다. 고산문화재단(이사장 영담 스님)은 10월 8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남해 고려대장경 판각유적지 원형복을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40년 전 강화도 선원사지를 발굴하고 ‘강화도 고려대장경 판각설’을 처음 주장한 문명대 동국대 명예교수(아래 사진)가 ‘고려대장경의 의의와 판각, 판고지 문제’를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섰다.
문 교수는 강화도 판각설 이후 새롭게 대두된 남해군 고려대장경 판각유적지 연구성과를 수용하며 “최고통치자(교정별감) 최이·최항 부자가 고려대장경판 판각을 강화의 고려대장도감과 남해의 분사대장도감이라는 국가공식기구를 설치해 두 곳에서 반반씩 선후의 시차를 두고 조조(雕造)했다고 보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타당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고려대장경 전부 남해 판각설’을 제기한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은 이 자리에서 일관되게 주장해온 ‘고려대장경 전부 남해 판각설’의 문헌적 근거를 조목조목 제시했다. 박 원장은 “고려대장경의 판각이 90% 이상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강화 선원사가 완공되었다는 점과 고려대장경판에 새겨져 있는 각수들의 이름을 조사해 본 결과 분사대장도감판이나 대장도감판이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각수에 의해서 새겨졌음이 확인된 점 등을 볼 때 고려대장경은 모두 남해에서 판각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주장들은 남해군 고려대장경 판각 유적지 복원의 당위성으로 귀결됐다. 고산문화재단 이사장 영담 스님(아래 사진)은 인사말을 통해 “중요한 것은 고려대장경 판각지로서 문헌에 그 기록이 있고 더구나 유적까지 출토된 지역은 남해군이 전국에서 유일하다”며 “강화도의 경우에는 나중에 유적이 발견되면 그 때 가서 복원을 하면 된다. 일단은 유적이 발견된 남해군의 판각지부터 먼저 복원하는 것이 합리적인 순서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미나는 남해군 주최, 고산문화재단·남해 화방사 주관, 국회 정각회 후원으로 이뤄졌으며, 남해군민, 여상규 국회의원, 주호영 국회의원, 김장실 국회의원, 박영일 남해군수, 김종진 문화재청 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