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이 아파하는 곳, 그곳에 불교가 있었다기획 / 세월호 참사 <中> 불교계 긴급구호의 의미와 과제
4월16일 세월호 침몰 참사 직후 온 나라가 슬픔에 잠겼다. 세월호 참사는 국민 모두의 아픔이었다. 참사 직후 조계종은 봉사대를 진도에 급파하고 가족을 잃은 슬픔의 현장에서 그들의 아픔을 함께 나눴다. 100일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지에서 남아있는 실종자 가족들의 곁을 지키고 있다. 진도에서 펼친 불교계 긴급구호의 의미와 과제를 짚어본다. |
세월호 참사 직후
기도, 물품 및 정서지원 등
불교계의 구호활동
실종자 가족들에 큰 힘
종단, 본사, 지역 불교계
한마음으로 활동 펼쳐
불교의 사회적 역할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
참사 100일 지났지만
지금도 진도 팽목항에서
불교구호봉사단은
실종자 가족들과 함께해
세월호 침몰 참사 직후 불교계는 발 빠르게 현장에서 긴급구호 활동을 펼쳤다. 세월호의 아픔을 함께 나눈 불교계의 자비행은 불교계 사회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사진은 지난 24일 세월호 참사 100일 맞아 종단협의회가 조계사 대웅전에서 봉행한 희생자를 위한 위령재. 신재호 기자 |
불교의 장점을 살린 기도와 상담 등 정서지원은 진도 현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사진은 향적사 주지 법일스님과 쌍계사 주지 진현스님이 실종자 가족들과 함께 기도하는 모습. 불교신문 자료사진. |
심리치유 전문 인력 양성…지속적인 관심 필요
긴급구호의 성과 이어나가려면…
세월호 참사 이후 펼친 불교계 긴급구호의 성과를 이어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세월호 생존자들과 희생자 가족들을 위한 심리치유에 주목해야 한다. 많은 심리 전문가들은 정신적 외상 극복과 일상생활 적응을 위해 “심리치유와 함께 긴급 투입 심리전문가의 조직과 양성이 시급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대형 참사로 인한 트라우마는 최소 3년 이상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10년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경기도와 안산시는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을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로 전환해 운영하며 심리치유에 힘쓰고 있다. 이웃종교계에서도 장기적인 심리치유를 위해 심리상담 센터를 마련하고 이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다. 조계종이 세월호 참사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마련한 템플스테이 역시 이같은 맥락에서다.
이와 함께 구호활동에 동참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조직을 갖추는 일도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구호활동 과정에서는 스님들의 참여가 절실했다. 가족들의 슬픔을 어루만지고 위로하기 위해서는 스님들의 역할이 절대적인 이유에서다. 앞으로 세월호 참사와 유사한 형태의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심리치유, 정서적 지원을 위한 임상전문가를 양성하고, 전문 인력을 네트워크화하는 일도 불교계의 주요 과제다. 다양한 형태의 재난 상황에 적합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일도 필요하다. 그동안 종단 구호활동은 자연재난에 집중됐고, 구호활동도 물질적 지원이나 기금 전달 등의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는 기존 재난과는 다른 형태의 구호활동이 필요했다. 때문에 물품지원, 심리치유, 정서적 지원 등 재난 유형에 따른 구호활동의 방향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도군실내체육관과 팽목항에서 많은 봉사 기관과 단체 가운데 불교계가 좋은 평가를 받았던 이유도 가족들의 슬픔을 어루만지고 위로하는 기도와 상담 등 정서적 지원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최종환 조계종 사회복지재단 사무국장은 “세월호 참사는 일반적인 재난 상황과 달랐다”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긴급재난구호봉사단 역시 기도와 정서지원에 집중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재단은 앞으로 다양한 양상으로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는 재난 상황에 맞춰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행 긴급구호봉사대의 체계를 정비하고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구자행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센터장은 실종자 및 유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자행 센터장은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불교계의 재난구호활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유가족의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종교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단원고 학생들을 위한 쉼터를 조성하고 운영하는 등 심리지원 활동을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 및 정치권의 노력 촉구, 관련 제도 및 법령 개정 촉구 등 세월호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불교계의 역할을 주문했다.
[불교신문3030호/2014년7월30일자]